I. 연구소 현황
 1. 연구소 발족 : 1995년 2월 8일
 2. 연구소 목적
한국철학을 탐구하고 상호 교육하며 국내외적으로 이해를 심화시킴으로써 고금 과 동서를 잇고 인류문화의 새로운 장을 여는데 이바지함
3. 연구소 사업
 1) 한국철학의 근원적 탐구를 위한 연구활동
 2) 한국철학 및 연관 분야에 대한 학술연찬
 3) 한국철학 및 관련분야에 대한 학술문화강좌
 4) 한국철학독본 등을 비롯한 한국철학관련 출판물의 간행
4) 기타 연구소의 목적에 부합되는 사업
4. 연구소 기구
 1) 이사회
 2) 소장
 3) 운영위원회
  (1) 기획․총무부
  (2) 연구․교육부
  (3) 편집․출판부
  (4) 국제․섭외부
  (5) 재정․사업부
4) 學術委員會
  (1) 철학․종교분과
  (2) 역사․사회분과
  (3) 문학․문화분과
  (4) 미학․예술분과
5) 한국철학연구회
5. 구성원
1) 이사 : 7-9명
2) 대표 : 1명
3) 감사 : 2명
4) 고문 : 약간명
5) 자문위원 : 약간명
6) 학술위원 : 상임위원 및 분과별 책임위원 각 1명
7) 운영위원 : 총간사 및 부별 간사 각 1명
8) 연구원 : 특별연구원, 책임연구원, 선임연구원, 연구원
9) 회원 : 251명(2009.10.1 현재)

Ⅱ. 학술 발표회

1. 제1회
가. 일시 : 1995년 12월 28일 16:00 ~ 21:00
나. 장소 : 잠실 한신오피스텔 1320호
다. 발표 논문 및 발표자
1) 莊子의 天樂論 : 韓明熙 (國立國樂院 院長)
2) 道學派의 經世論 : 李相益 (成均館大 講師)

2. 제2회
가. 일시 : 1996년 11월 8일 17:00 ~ 21:00
나. 장소 : 잠실 한신오피스텔 1320호
다. 발표 논문 및 발표자
1)「高麗水月觀音圖」와 ‘아그랍음’ : 金敬子(漢陽大 敎授)
2) 安邦俊의 義理思想과 『隱峰野史別錄』의 의의 : 崔英成(成均館大 講師)
3. 제3회
가. 일시 : 1997년 12월 26일 17:00 ~21:00
나. 장소 : 잠실 한신오피스텔 1320호
다. 발표 논문 및 발표자
1)「韓國 易學思想의 特性에 관한 考察」: 崔英辰 (成均館大 敎授)
2)「退溪哲學과 爲己之學 」: 崔重錫 (成均館大 講師)

4. 제4회
가. 일시 : 1998년 7월 18일 17:00 ~ 20:00
나. 장소 : 잠실 한신오피스텔 1320호
다. 발표 논문 및 발표자
1)「한 哲學徒의 助言」 : 金奎榮 선생님 (學術院 會員)
2)「靜庵 趙光祖 道學思想의 學問的 基盤과 特性」: 李相星(成均館大 講師)

5. 제5회
가. 일시 : 1998년 12월 19일 17:00 ~ 22:00
나. 장소 : 잠실 한신오피스텔 1320호
다. 발표논문:
1) 「圃隱 鄭夢周 先生의 詩와 哲學」 : 鄭聖植 (成均館大 講師)
2) 「易學思想의 生態學的 理解」 : 郭信煥 (崇實大 敎授)

6. 제6회
가. 일시 : 1999년 6월 14일 18:30 ~ 20:00
나. 장소 : 성균관대 수선관 별관 9층 62902호
다. 발표 논문 및 발표자
「現代 社會와 儒敎」 : 에드워드 R. 캔더 박사(Edward R. Canda Ph.D.)
(미국 캔서스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7. 제7회
가. 일시 : 1999년 10월 2일 17:00 ~ 20:00
나. 장소 : 성균관대학교 수선관 별관 8층 첨단강의실(62805호)
다. 발표논문 및 발표자
1) 旅軒 張顯光의 經緯說 硏究 : 李熙平 선생(성균관대 강사)
2) 韓國美의 追求 : 趙要翰 박사(숭실대 명예교수, 학술원 회원)

8. 제8회
가. 일시 : 2000년 4월 1일(토) 오후 5:00~ 8:30
나. 장소 : 성균관대학교 종합강의동 5층 첨단강의실(31503호)
다. 발표 논문 및 발표자
1) 人間觀의 探索 – 孔子와 墨子의 사상을 중심으로 –
: 황성규 선생(중국 북경인민대 졸업)
2)『東醫寶鑑』「內景」편의 道敎 文獻 고찰
: 成昊俊 선생(성균관대 강사)
3) 春秋學의 現代的 理解 – <公洋傳>을 중심으로 –
: 權正顔 박사(공주대학교)

9. 제9회
가. 일 시 : 2001년 6월 2일(토) 오후 2:00 ~ 6:00
나. 장 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첨단강의실(31503호)
다. 발표논문 및 발표자
1) 勉齋 黃榦에 대한 考察 – 朱子의 門人과 朱子學의 전도자로서의 측면을
중심으로 – : 池俊鎬 박사( 中國 北京大 卒業)
2) 郭店楚簡 「魯穆公問子思」의 忠臣觀
: 李承律 박사(日本 東京大 卒業)
논평 : 黃光旭 선생(성균관대 강사)
3) 儒家的 人性敎育에 關한 斷想
: 李香晩 박사(慶熙大 講師)
논평 : 이은선 선생(세종대학교 교수)

10. 제10회
가. 일 시 : 2001년 8월 3일 (금) 오후 5:00 ~ 8:30
나. 장 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03 첨단강의실
다. 발표 논문 및 발표자
1) 中國 및 北韓地域의 高句麗 遺蹟에 대한 美術史的 考察
이미화 교수(美國 Kansas大 東아시아 언어문화학과)
2) 東北 아시아 文化有産에 대한 宗敎學的 談論
Daniel Stevenson 교수(美國 Kansas大 종교학과)

Ⅲ. 학술문화강좌(공통주제: ‘나의 중심개념’)

제1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 儒學의 나라 ‘朝鮮’ 이해법
2) 발표 : 鄭 玉 子 교수(서울大, 奎章閣 館長)
3) 일시 : 2002년 3월 30일(토) 오후 3시~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03 첨단강의실

제2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 韓民族의 正體性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해석
2) 발표 : 李 光 奎 박사(서울대학교 명예교수)
3) 일시 : 2002년 4월 27일(토) 오후 3시~ 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03 첨단강의실

제3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 ‘時間’에 대한 철학적 談論
2) 발표 : 蘇 光 熙 박사 (서울大 명예교수)
3) 일시 : 2002년 5월 25일(토) 오후 3시~ 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03 첨단강의실

제4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 ‘風流道’에 대한 詩的 이해
2) 발표 : 朴 喜 璡 선생
3) 일시 : 2002년 6월 29일(토) 오후 3시~ 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03 첨단강의실

제5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 키에르케고어와 󰡐참 나󰡑
2) 발표 : 表 在 明 선생
3) 일시 : 2002년 9월 14일(토) 오후 3시~ 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03 첨단강의실

제6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 선비사상과 한국의 정치문화 -그 현대적 의미와 전망-
2) 발표 : 李 相 禹 교수(서강대)
3) 일시 : 2002년 10월 19일(토) 오후 3시~ 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03 첨단강의실

제7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 자비와 사랑 -元曉와 야스퍼스에 있어서 最高善의 개념-
2) 발표 : 申 玉 姬 박사(이화여대 명예교수)
3) 일시 : 2002년 11월 30일(토) 오후 3시~ 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03 첨단강의실

제8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 조선도자기와 造形精神
2) 발표 : 鄭 良 謨 교수(경기대)
3) 일시 : 2003년 3월 29일(토) 오후 3시~ 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03 첨단강의실

제9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 生命음악과 律呂정신
2) 발표 : 金 永 東 선생(율려연구소 소장)
3) 일시 : 2003년 4월 26일(토) 오후 3시~ 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11 첨단강의실

제10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 한국인의 성격론
2) 발표 : 李 符 永 박사(서울대 명예 교수)
3) 일시 : 2003년 5월 31일(토) 오후 3시˜ 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수선관 8층 62805 첨단강의실

제11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 風流道와 韓國神學
2) 발표 : 柳 東 植 박사(전 연세대 교수)
3) 일시 : 2003년 7월 5일(토) 오후 3시~ 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11 첨단강의실

제12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 민족의 개념과 민족의 형성
2) 발표 : 신 용 하 박사(한양대 석좌교수,서울대 명예교수)
3) 일시 : 2003년 9월 27일(토) 오후 3시˜ 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03 첨단강의실

제13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 현실이 實相인가, 幻相인가-현실적 진리와 사실적 진리-
2) 발표 : 김 형 효 교수(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일시 : 2003년 10월 25일(토) 오후 3시˜ 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11 첨단강의실

제14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多夕 柳永模의 인간과 사상 : 東洋的 기독교 이해
2) 발표: 金 興 浩 박사(전 이화여대․감리교신학대 교수)
3) 일시: 2003년 11월 29일(토) 오후 3시~ 5시
4) 장소: 성균관대학교 수선관 별관 8층 첨단제1강의실 62805

제15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한국 회화의 특수성과 세계성
2) 발표: 李 鍾 祥 박사(서울대학교 명예교수)
3) 일시: 2004년 3월 27일(토) 오후 3시~ 5시
4) 장소: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

제16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 「나의 삶: 문학에 대한 生哲學的 관심」
― 詩人 릴케에 대한 再考
2) 발표 : 廉 承 燮 박사 (계명대 교수 역임)
3) 일시 : 2004년 4월 24일 오후 3시~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11 첨단강의실

제17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 「韓民族 形成過程 探索」
– 기마민족과 농경민족의 만남
2) 발표 : 金 秉 模 박사 (한양대학교 교수)
3) 일시 : 2004년 5월 29일(토) 오후 3시~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11 첨단강의실

제18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韓國外交史의 새로운 硏究를 위한 하나의 제언
2) 발표: 金 容 九 박사(한림대 특임교수․서울대 명예교수)
3) 일시: 2004년 6월 26일(토) 오후 3시~ 5시
4) 장소: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

제19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광개토대왕비의 새로운 고찰
-한국의 본원적 사상과 관련하여
2) 발표: 柳 承 國 박사(대한민국학술원 회원․성균관대 명예교수)
3) 일시: 2004년 10월 30일(토) 오후 3시~ 5시 30분
4) 장소: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

제20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秋史 金正喜의 학문과 예술
2) 발표: 柳 承 國 박사(대한민국학술원 회원․성균관대 명예교수)
3) 일시: 2005년 3월 26일(토) 오후 3시~ 5시 30분
4) 장소: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

제21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 「生哲學의 지평 : 딜타이와 베르그송」
2) 발표 : 廉 承 燮 박사(전 계명대 교수)
3) 일시 : 2005년 4월 30일(토) 오후 3시~ 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03

제22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 「鶴山 李正浩 先生과 正易」
2) 발표 : 柳 承 國 박사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3) 일시 : 2005년 5월 28일(토) 오후 3시~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 e+강의실 31409

제23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 「류춘수 건축의 세계성과 동양적 지역성」
2) 발표 : 柳 春 秀 회장 (異空建築)
3) 일시 : 2005년 6월 25일(토) 오후 3시~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 e+강의실 31409

제24회 학술문화강좌
1) 제목 : 文化誤譯의 현실과 번역문화의 올바른 길
2) 발표 : 李 在 浩 선생 (성균관대 명예교수)
3) 일시 : 2005년 9월 24일(토) 오후 3시~ 5시 30분
4) 장소: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

제25회 학술문화 강좌
1) 제목 : 佛敎의 孝와 父母恩重經
2) 발표 : 正無 큰스님 (石南寺 主持)
3) 일시 : 2005년 10월 29일(토) 오후 3시~ 5시 30분
4) 장소: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

제26회 학술발표회(10주년기념)
1)일시 : 2005년 12월 17일(土) 오후 2시~5시30분
2) 학술 발표1 ; 한국유교의 종교적 성찰
-임윤지당과 강정일당을 중심으로
이은선 교수(세종대)
학술 발표2 ; 율곡의 철학사상과 그 방법론적 특징
-본래성과 현실성의 상호매개적 사유를 중심으로
이경한 박사(성균관대)
3) 논평 토론사회 지준호 교수(서울교육대학교)
토론1 이정배 교수(감신대)
토론2 정도원 박사(성균관대)
4) 특별강연 : 류승국 명예교수(대한민국학술원 회원)
;한국사상의 방향과 철학도의 사명
5)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

제27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근대화의 발자취와 우리의 과제
2) 발표 : 南 悳 祐 박사 (산학협동재단 이사장)
3) 일시 : 2006년 3월 25일 (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11 첨단강의실

제28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自由民主主義 小考
2) 발표 : 鄭 範 謨 박사(대한민국학술원 회원․한림대 석좌교수)
3) 일시 : 2006년 4월 29일 (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11 첨단강의실

제29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市場의 기능과 國家의 기능
2) 발표 : 趙 淳 박사(민족문화추진회 회장)
3) 일시 : 2006년 7월 1일(土) 오후 3시 ~ 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11 첨단강의실

제30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나의 思想的 遍歷
2) 발표 : 梁 好 民 박사 (翰林大 碩座敎授)
3) 일시 : 2006년 9월 30일(土) 오후 3시~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11 첨단강의실

제31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科學的 世界觀의 變遷
– 物理學을 中心으로
2) 발표 : 蘇 光 熙 박사(서울대학교 명예교수)
3) 일시 : 2006년 10월 28일(土) 오후 3시~ 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32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儒家의 人道精神과 文化交流의 方向
2) 발표 : 李 東 俊 교수(한국철학연구소 대표)
3) 일시 : 2006년 12월 23일(土) 오후 3시~ 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33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한국인의 音聲言語 인식과 發音 경향
-子音에 敏感하고 母音에 鈍感한 언어생활 습관 문제-
2) 발표 : 兪 萬 根 명예교수 (성균관대)
3) 일시 : 2007년 3월 31일(토) 오후 3시~ 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34회 학술문화발표(학산 이정호 선생 3주기 기념)
1) 제목 : 正易과 正倫
2) 발표 : 崔 一 凡 교수(성균관대 유학․동양학부)
3) 일시 : 2007년 5월 19일(토) 오후3시~6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11 첨단강의실

제35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Nishi의학과 자연건강법
2) 발표 : 裵 星 權 회장 (한국자연건강학회)
3) 일시 : 2007년 6월 30일(토) 오후 3시~ 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36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21世紀 國際秩序
2) 발표 : 李 相 禹 교수 (翰林國際大學院大學校 총장)
3) 일시 : 2007년 9월 15일(토) 오후 3시~ 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37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朱子學은 實學이다.
2) 발표 : 蔡 茂 松 교수 (臺灣 國立成功大學)
3) 일시 : 2007년 10월 27일(토) 오후 3시 ~ 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38회 학술문화발표
1)제목 : 音樂과 精神健康
– 우리에게 音樂은 무엇인가?
2) 발표 : 趙 美 媛 (피아니스트, 한양대학교 강사)
3) 일시 : 2007년 12월 15일(토) 오후 2시 ~ 4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39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現代人의 精神健康
– 스트레스에 관한 고찰
2) 발표 : 金 敎 憲 교수(충남대 심리학과)
3) 일시 : 2008년 3월 29일 (土) 오후 3시 ~ 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40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역사학의 철학
– 역사적 지식의 객관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2) 발표 : 李 漢 龜 교수(성균관대 철학과)
3) 일시 : 2008년 4월 26일 (土) 오후 3시 ~ 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7층 정보통신대학원 첨단강의실 31709호

제41회 학술문화발표
-鶴山 李正浩 先生 四週忌紀念 學術發表會
1) 일시 : 2008년 5월 24일(土) 오후 3시 ~ 6시
2)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9호
3) 발표
개회사 李東俊 교수 (한국철학연구소 대표)
기념사 柳承國 박사 (鶴山李正浩先生追慕會長)
학술발표 1 : 訓民正音과 易學思想 – 李善慶 박사 (성균관대)
학술발표 2 : 현대문명의 易學的 省察과 展望 – 李相益 교수 (영산대)

제42회 학술문화발표
1)제목 : 󰡔논어󰡕 이해의 새로운 접근
2) 발표 : 승 계 호 교수 (미국텍사스 대학․오스틴)
3) 일시 : 2008년 6월 7일 (토) 오후 4시~ 6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제43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박정자의 演劇이야기
2) 발표 : 朴正子 (연극인)
3) 일시 : 2008년 6월 28일(土) 오전 10:30~12:30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7층 정보통신대학원 첨단강의실 31709호

제44회 학술문화발표
1) 일시 : 2008년 10월 4일(土) 오후 3시~6시
2)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7층 첨단강의실 31709호
3) ◇ 학술발표
제목: 인류의 성숙과 열린세계
―동방사상의 현대적 성찰―
발표: 이동준 박사 (성균관대 명예교수)
◇ 古音樂 감상
曲名: 소악(韶樂) 1장~10장
(中國山東臨淄歷史博物館制作ㆍCD음악)

제45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전통음악을 통해 본 한국문화
2) 발표 : 韓明熙 교수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3) 일시 : 2008년 10월 25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첨단강의실 4층 31409호

제46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主體의 모색, ‘나’는 누구인가?
2) 발표 : 李尙馥 박사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원로회원・서울대학교 명예교수)
3) 일시 : 2008년 11월 29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47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形’과 ‘影’ ― 조선시대 肖像畵
2) 발표 : 趙 善 美 교수(성균관대 박물관장)
3) 일시 : 2009년 3월 28일(토요일) 오후 3시~ 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48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셰익스피어와 한국인의 정서
2) 발표 : 이상섭 박사(연세대 명예교수)
3) 일시 : 2009년 4월 25일(토요일)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5) 후원 :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ㆍ한국철학사연구회

제49회 학술문화발표

제1부 학술발표
제목 : 21세기 인류문명의 방향과 正易思想
발표 : 金文俊 교수 (건양대)
제2부 특별강연
제목 : 文化多樣性이 보장되는 협의공동체 : 21세기 世界平和秩序
발표 : 李相禹 박사 (서강대 명예교수・전 한림대 총장)
일시 : 2009년 5월 30일 (土) 오후 3시-6시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9호

제50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하이데거 존재론의 함의
2) 발표 : 蘇光熙 박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3) 일시 : 2009년 6월 27일(土) 오후 3시~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51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나의 해양인류학 조사연구 : 회고와 전망
2) 발표 : 韓相福 박사 (서울대 명예교수)
3) 일시 : 2009년 9월 26일(土) 오후 3시~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52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A.N.화이트헤드의 유기체적 세계관의 구상
2) 발표 : 吳 榮 煥 박사 (연세대 명예교수)
3) 일시 : 2009년 10월 24일(土) 오후 3시~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7층 첨단강의실 31709호
제53회 학술문화발표
1) 일시 : 2009년 11월 28일(土) 오후 2시~5시
2) 주제: 高齡化時代: 우리의 삶의 지혜
발제1 : 老年世代와 삶의 지혜
발표 : 소광희 (서울대 명예교수)
발제2 : 인간의 성숙과 人倫社會
발표 : 이동준 (성균관대 명예교수)
발언1 : 이상복 (서울대 명예교수)
발언2 : 손동현 (성균관대 교수)
발언3 : 박승희 (성균관대 교수)
3)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54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디지털 遊牧時代”의 大學敎育
2) 발표 : 孫東鉉 교수 (성균관대 학부대학 학장)
3) 일시 : 2010년 4월 10일(土) 오후 3시~6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첨단강의실 31511호

제55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鶴山 李正浩先生 六周忌紀念 學術發表會
2) 발표 :
기념사 : 柳承國 박사 (학산이정호선생추모회 회장)
학술발표1 : 鶴山先生의 易學思想과 先後天觀 :
柳七魯 교수 (韓南大)
학술발표2 : 地球의 未來
金正禹 교수 (延世大)
3) 일시 : 2010년 4월 29일(土) 오후 2시~6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56회 학술문화발표(동방사상강좌Ⅰ)
1) 제목 : 百濟 王仁博士의 學術傳播와 歷史的 位相
2) 발표 : 柳承國(대한민국학술원 회원・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3) 일시 : 2010년 10월 9일(토) 오후 3시-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2호

제57회 학술문화발표(重峯趙憲先生 殉義418周年紀念)
1) 발표 및 주제
기념사 : 이동준(중봉기념사업회 회장)
발표 1 : 靜庵 趙光祖의 :道學思想과 國家意識
이상성(성균관대)
발표 2 : 退溪 李滉의 道學과 社會思想
강희복(상명대)
발표3 : 栗谷 李珥의 道學과 社會改革
이기용(연세대)
발표4 : 重峯 趙憲의 義理思想과 實踐哲學
최영성(한국전통문화학교)
2) 일시 : 2010년 11월 6일 (토) 오후2시-5시
3)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9호

제58회 학술문화발표(중봉발표회와 연계)
1) 제목 : 중봉 경세론의 현대적 조명
2) 발표 : 이 상 익 교수(부산교대)
3) 일시 : 2011. 3. 26(土) 오후 3시-4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9호

제59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한국의 사상적 고향 -한국 고대정신의 특징-
2) 발표 : 이동준 (성균관대 명예교수)
3) 일시 : 2011년 4월 30일(토) 오후 3시-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2호

제60회 학술문화발표(鶴山 李正浩先生 七周忌紀念 學術發表會)
1) 개회사 : 李東俊(한국철학연구소 대표)
기념사 : 安炳周(성균관대 명예교수)
학술발표 1 : 抑陰尊陽에서 調陽律陰으로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崔英辰(성균관대 교수)
학술발표 2 : 훈민정음의 창제원리와 철학사상
이동준(성균관대 명예교수)
담론 진행 : 崔一凡(성균관대 교수)
2) 일시 : 2011년 5월 28일(토) 오후 3시-6시
3)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6층 첨단강의실 31609호

제61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선비, 난세의 선비는 숨어 살아야 하는가?
2) 발표 : 이 동 준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3) 일시 : 2011년 6월 25일 (土) 오후 3시-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2호

제62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栗谷의 사회사상과 大同세계
2) 발표 : 李 東 俊(성균관대 명예교수)
3) 일시 : 2011년 9월 30일(금) 오후 3시- 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7층 첨단강의실 31709호

제63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義庵 柳麟錫의 人道思想과 文明世界
2) 발표 : 이 동 준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3) 일시 : 2011년 10월 29일 (土) 오후 3시-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6층 첨단강의실 31609호

제64회 학술문화발표(重峯趙憲先生 殉義 419周年紀念 發表)
1) 제목 : 重峯趙憲先生의 道學思想과 內修外備論
2) 인사말씀 : 李東俊 회장
발 표 I : 「東還封事」를 통해 본 重峯의 改革思想
— 李相益 교수(부산교대)
발 표 II : 重峯의 備外之策과 尤庵의 攘夷精神
— 郭信煥 교수(숭실대)
3) 일시 : 2011년 11월 18일(토) 오후 3시- 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65회 학술문화발표(중봉조헌선생기념사업회 발표 연계)
1) 인사말씀
李東俊 (한국철학연구소 대표 · 중봉조헌선생기념사업회 회장)
발표: 栗谷과 重峯의 道學精神
黃義東 교수(충남대 유학연구소장)
3) 일시 : 2012. 2. 17(금) 오후 4시~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47층 첨단강의실 31409호

제66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寒齋 李穆의 道學思想과 茶道精神
2) 발표 : 최영성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발언 : 김문준(건양대)・이상성(성균관대)
3) 일시 : 2012년 3월 31일 (토) 오후3시-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67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人權과 人倫의 상함성과 상보성
2) 발표 : 이상익 (부산교육대)
발언 : 정성식(영산대)・박승희(성균관대)
3) 일시 : 2012년 4월 28일 (토) 오후3시-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2호

제68회 학술문화발표(鶴山 李正浩先生 八周忌紀念 學術發表會)
1) 개회사 : 이동준 (한국철학연구소 대표)
기념사 : 최영진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장)
학술발표1 : 15세기 언문에서 21세기 온 누리의 글자로
-훈민정음(한글)은 국보 특1호이며 인류 공통의 문자다
: 이현복 (서울대 언어학과 명예교수)
학술발표2 : 邵雍 先天의 본질과 金恒 后天의 비전에 대한 管見
: 곽신환 (숭실대 철학과 교수)
2) 일시 : 2012년 5월 26일(토) 오후 3시-6시
3)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6호

제69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제목: 太極旗에 대한 易學的 照明
2) 발표 : 이선경 (성신여대)
3) 일시 : 2012년 6월 29일 (金) 오후 3-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2호

제70회 학술문화발표(중봉조헌선생기념사업회 연계 발표)
1) 발표 1 : 重峯先生에 대한 隱峯의 이해와 顯彰
안동교(조선대)
발표 2 : 세종리더십의 형성 – 정도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현모(한국학중앙연구원)
2) 일시 : 2012. 11.17. 14:00~17:00
3)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7층 첨단강의실 31709호

제71회 학술문화발표(중봉조헌선생기념사업회 연계 발표)
1) 인사말씀
李東俊(한국철학연구소 대표·중봉조헌선생기념사업회 회장)
발 표 1 : 重峯思想과 春秋學 : 「抗義新編」과 관련하여
權正顔 (公州大 교수)
발 표 2 : 正祖大王의 學術과 經綸
朴賢謨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종리더십연구소 실장)
2) 일시 : 2013. 3. 23(토) 오후 2시~4시 30분
3)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6호

제72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최치원의 東人意識과 세계정신’
2) 발표 : 최영성(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
3) 일시 : 2013. 4. 27(토) 오후 2시~4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51511호

제73회 학술문화발표(韓國哲學硏究所, 峯趙憲先生紀念事業會
鶴山李正浩先生追慕會 연계발표)
1) 제목 :‘禮樂秩序와 민주주의’
2) 발표 : 李相禹 박사(신아시아연구소 소장)
3) 일시 : 2013년 5월 25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6호

제74회 학술문화발표(동방사상학술발표회2013-4차)
1) 주제: 근대 한국에 있어서 민족적 주체성과 세계적 보편성의 문제
2) 발표: 이상익 (부산교육대)
발언1: 장승구 (세명대)
발언2: 이향만 (가톨릭대)
3) 일시 : 2013년 6월 22일(토) 오후 3시-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6층 첨단강의실 31604호

제75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전통 定型詩와 현대 自由詩의 문화적 가치와 기능
-우리 時調와 요새 ‘토막산문’詩 문제-
2) 발표 : 兪萬根 (성균관대 명예교수)
3) 일시 : 2013년 9월 28일(토) 오후 3시~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7층 첨단강의실 31709호

제76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尤庵 宋時烈이 推仰한 先賢들, 그리고 重峯 趙憲
2) 발표 : 김문준 교수(건양대학교)
3) 일시 : 2013년 10월 19일 오후 3시~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호암관 3층 50307호

제77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尤庵 宋時烈의 聞道와 行義
2) 발표 : 郭信煥(숭실대학교)
발언1 金文俊(건양대학교)
발언2 李相益(부산교육대학교)
3) 일시 : 2013년 11월 23일 오후 3시~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7층 첨단강의실 31706호

제78회 학술문화발표
1) 발 표 1 : 世宗大王의 孝悌와 인간존엄성 追求
趙南旭교수(부산대 윤리교육학과)
발 표 2 : 隱峯 安邦俊의 학문과 當時代정리
安東敎박사(조선대 고전연구센터)
2) 일시 : 2014. 3. 22(土) 오후 2시 30분~5시 30분
3)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4층 첨단강의실 31406호

제79회 학술문화발표(성대유학대학 동양철학문화연구소 공동주최)
1) 제목 : 한국인과 중국인의 생활에서 본 두 나라의 문화적 차이
2) 발표 : 金秉運 박사 (중국 樹人大學 敎授)
3) 일시 : 2014년 4월 5일(土) 오후 3시-5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6호

제80회 학술문화발표
1) 개회사-이동준 한국철학연구소대표 / 기념사-류칠로 학산선생추모회대표
2) 발표 1 : 論語五十學易章의 易學的 검토 / 김영호
발표 2 : 易과 생명 / 신원봉
3) 일시 : 2014. 5. 24(토) 오후 14:30~17:30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31406호 첨단강의실

제81회 학술문화발표(동방사상학술발표회 2014 –4차)
1) 제목 : 論語의 진실- 顔淵問仁章을 중심으로 –
2) 발표 : 金暎鎬 교수(영산대학교)
3) 일시 : 2014년 6월 21일 오후 3시 ~ 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6호

제82회 학술문화발표(동방사상학술발표회 2014 –5차)
1) 제목 : 한국철학의 태도와 방법
2) 발표 : 이동준(성균관대 명예교수)
3) 일시 : 2014년 9월 27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83회 학술문화발표(동방사상학술발표회 2014 –6차)
1) 제목 : 중봉 조헌의 민족사적 위상
— 壬亂의 先見과 국난극복의 대비책 —
2) 발표 : 이동준(성균관대 명예교수)
3) 일시 : 2014년 10월 25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84회 학술문화발표(동방사상학술발표회 2014 –7차)
1) 제목 : 액설로드의‘팃포탯’전략과 유교의 君子論
2) 발표 : 이상익(부산교육대학교)
발언1 : 김영호(영산대학교)
발언2 : 이선열(한신대학교)
3) 일시 : 2014년 11월 29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6호

제85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
2) 발표 : 이상익 교수 (부산교대)
발 언1 – 리기용 교수(연세대)
발 언2 – 김용재 교수(성신여대)
3) 일시 : 2015년 3월 28일(土) 14시 30분~17시 0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6호

제86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조선조 지성인들의 ‘古今’認識과 역사변동
― 학파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2) 발표 : 최영성 교수(한국전통문화대학교)
발언1 : 김형기 박사 (서라벌고교 교장)
발언2 : 안은수 박사 (민족의학연구원)
3) 일시 : 2015년 4월 25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호암관 3층 50307호

제87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易의 坤卦와 유교적 삶의 완성
­󰡔周易󰡕 坤卦에 깃든 유교의 종교성과 인문정신을 중심으로­
2) 발표 : 이선경 박사(성균관대학교)
발언1 : 이은선 교수 (세종대학교)
발언2 : 이향만 교수 (가톨릭대학교)
3) 일시 : 2015년 5월 23일(土 )오후 3시 ~ 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호암관 3층 50307호

제88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朱子의 格物說과 王陽明 및 徐花潭의 공부법
– 格物의 實行과 學的 成就의 異同을 중심으로 –
2) 발표 : 황광욱 박사(가톨릭대학교)
발언1 : 안은수 박사 (민족의학연구원)
발언2 : 김윤경 박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3) 일시 : 2015년 6월 27일(土 )오후 3시 ~ 5시30분2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6층 31604호

제89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論語와 聖書
– 고전의 현대적 독법을 위한 하나의 시도 –
2) 발표 : 김형기 박사(서라벌고등학교 교장)
발언1 : 안은수 박사 (민족의학연구원)
발언2 : 이향만 교수 (가톨릭대학교)
3) 일시 : 2015년 10월 31일(土 )오후 3시 ~ 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31604호

제90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靜庵 改革의 본질 : 그 현대적 성찰
2) 발표 : 이상성 박사(홍익여고 교장)
3) 일시 : 2015년 11월 28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호암관 3층 첨단강의실 51307호

제91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구본 송익필의 학문과 중봉의 伸冤疏
2) 발표 : 이상성 박사(홍익여고 교장)
3) 일시 : 2016년 3월 19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6호

제92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인간의 존엄성과 사람다운 삶-이상익 교수(부산교대)
교양인의 국제어와 자국어-유만근 명예교수(성균관대)
2) 일시 : 2016년 4월 23일(土) 오후 3시~5시30분
3)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6호

제93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포은 정몽의 사상과 역사적 위상
-先儒들의 평가와 송시열의 춘추학적 인식을 바탕으로-
2) 발표 : 김문준 교수(건양대)
3) 일시 : 2016년 5월 28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3층 첨단강의실 31308호

제94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주역의 감응론과 유학의 共感政治
2) 발표 : 이선경 박사(성균관대)
3) 일시 : 2016년 6월 24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6호

제95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일본의 고문헌으로 본 獨島
-隱州視聽合記와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를 중심으로-
2) 발표 : 최영성 교수(한국전통문화대)
3) 일시 : 2016년 9월 24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3층 첨단강의실 31308호

제96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세계 傳統詩 부흥운동과 한국 時調 재조명
2) 발표 : 유만근 명예교수(성균관대)
3) 일시 : 2016년 10월 22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97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最古最高’ 知性의 요람
– 成均館大의 역사와 민족사적 위상-
2) 발표 : 최영성 교수(한국전통문화대)
3) 일시 : 2016년 11월 26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7층 첨단강의실 31709호

제98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정포은과 정삼봉의 철학사상과 현실인식
-여말선토의 역사적 사상적 전환과 관련하여-
2) 발표 : 정성식 교수(영산대)
3) 일시 : 2017년 4월 22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6호

제99회 학술문화발표
1) 발표1 : 正易과 한국사상
–사상적 연원 탐구- 최영성 교수(한국전통문화대)
2) 발표2 : 학산 이정호의 정역 사상에 관한 연구 –
– 정역의 문명론적 고찰- 최일범 교수(성균관대)
3) 일시 : 2017년 5월 27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1호
제100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현대사회와 한국사상의 의의
– 근현대 인문학, 사회과학에 대한 진단을 중심으로-
2) 발표 : 이상익 교수(부산교대)
3) 일시 : 2017년 7월 1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6호

제101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주희 이기론·우주론의 현대성>에 대한 심층적 논의
2) 발표 : 김상준(경희대)
토 론1 : 이상익(부산교대)
토 론2 : 이선열(성균관대)
토 론3 : 최일범(성균관대)
3) 일시 : 2017년 10월 14일(土) 오후 3시~6시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6호

제102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퇴계의 敬과 율곡의 誠, 그 이론과 실제
2) 발표 : 정도원 (성균관대 초빙교수)
토 론1 : 허종은 박사 (한국철학인문문화연구소)
토 론2 : 이성희 선생 (진광중학교)
3) 일시 : 2017년 12월 2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9호

제103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16세기 한국성리학파의 인성함양론 고찰
-퇴‧율과 중봉을 중심으로-
2) 발표 : 강보승 박사 (성균관대 인성교육센터)
발언1 : 안은수 박사 (성균관대 초빙교수)
발언2 : 이상성 박사 (홍익여고 교장)
3) 일시 : 2018년 2월 24일(土) 오후 3시~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6호

제104회 학술문화발표
1) 발표1 : 학산이 본 󰡔주역󰡕과 󰡔논어󰡕의 연계성에 관하여
김영호(영산대)
– 발 언: 안은수(성균관대)
발표2 : 율곡이 퇴계를 만나게 되는 과정 고찰
최영성(한국전통문화대)
– 발 언: 이상성(한국철학연구소)
2) 일시 : 2018년 5월 26일(土) 오후 3시~5시30분
3)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첨단강의실 31512호

제105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공자와 소크라테스의 철학하는 태도
2) 발표 : 이동준 (성대 명예교수)
3) 일시 : 2018년 6월 30일 오후 3시~5시 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첨단강의실 31406호

제106회 학술문화발표
1) 제 목: 유교의 孝悌思想과 老人福祉
2) 발 표: 이선경 (조선대 객원 교수)
발언 1. 함윤식 (성균관대 초빙교수)
발언 2. 김윤경 (조선대 연구교수)
3) 일 시: 2018년 9월 29일(土) 오후 3시-시 30분
4) 장 소: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31406호 첨단강의실

제107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임진왜란 7년전쟁의 참화와 교훈
– 󰡔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분석적 고찰
2) 발표 : 손승철(강원대 명예교수)
토 론 : 발언1 김문준(건양대 교수)
발언2 이상성(홍익여고 교장)
3) 일시 : 2018년 11월 24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호암관 3층 50307호실

제108회 학술문화발표
– 학산 이정호선생 탄신 106주년 기념
1) 인사말씀-류칠로 학산선생추모회대표/기념사-최일범 유학대교수
2) 발표 1 : 19세기 조선과 正易사상 – 곽신환 교수(숭실대)
발표 2 : 학산선생님과의 만남과 배움 – 이상성(홍익여고 교장)
3) 말씀나눔 : 참가자 일반
4) 일 시: 2019년 3월 23일(土) 오후 3시-5시30분
5) 장 소: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31409호 첨단강의실

제109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중봉 조헌의 경세론
– 萬言疏를 중심으로 –
2) 발표 : 김문준(건양대 교수)
토론 : 발언1 김준태(성균관대 초빙교수)
발언2 참가자 일반
3) 일시 : 2019년 4월 27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31409호

제110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정암 조광조에 대한 퇴계와 율곡의 인식과 평가
– 「행장」과 「묘지명」을 중심으로 –
2) 발표 : 이상성(홍익여고 교장)
토론 : 발언1 김문준(건양대 교수)
발언2 참가자 일반
3) 일시 : 2019년 5월 25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12호

제111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한일관계의 역사적 성찰
-‘조선통신사’를 중심으로-
2) 발표 : 손승철(강원대 명예교수)
토론 : 발언1 김문준(건양대 교수)
발언2 참가자 일반
3) 일시 : 2019년 6월 29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5층 31512호

제112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조선 유학에서 主宰와 禍福의 문제
-栗谷 李珥를 중심으로-
2) 발표 : 곽신환(숭실대 명예교수)
토론 : 토론1 최일범(성균관대 교수)
토론2 참가자 일반
3) 일시 : 2019년 10월 5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3층 31310호(時習齋)

제113회 학술문화발표
1) 제목 : 유교적 인도주의의 실상과 통일의 이념적 성찰
-栗谷 李珥를 중심으로-
2) 발표 : 이동준(성균관대 명예교수)
토론 : 참가자 일반
3) 일시 : 2019년 11월 9일(土) 오후 3시~5시30분
4) 장소 :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4층 31406호

Ⅳ. 한국철학 원전강해

1. 제1차 講解
가. 기 간 : 1995년 3월 16일 ~ 6월 16일
나. 원전명 : 『四山碑銘』
다. 강독자 : 崔英成 선생
라. 장 소 : 잠실 한신오피스텔 1320호

2. 제2차 講解
가. 기 간 : 1995년 6월 29일 ~ 8월 31일
나. 원전명 : 「栗谷先生萬言封事」
다. 강독자 : 李相益 선생
라. 장 소 : 잠실 한신오피스텔 1320호

3. 제3차 講解
가. 기 간 : 1995년 9월 14일 ~ 11월 9일
나. 원전명 : 「朱子戊申封事」
다. 강독자 : 李相益 선생
라. 장 소 : 잠실 한신오피스텔 1320호

4. 제4차 講解
가. 기 간 : 1995년 11월 16일 ~ 1996년 6월 7일
나. 원전명 : 『退陶先生自省錄』
다. 강독자 : 崔重錫 선생
라. 장 소 : 성균관대 제4세미나실

5. 제5차 講解
가. 기 간 : 1996년 6월 13일 ~ 11월 21일
나. 원전명 : 『湛軒書』
(「毉山問答 」,「林下經綸」,「答徐成之論心說」,「心性問」)
다. 강독자 : 金仁圭 선생
라. 장 소 : 성균관대 제4세미나실

6. 제6차 講解
가. 기 간 : 1996년 11월 28일 ~ 1997년 2월 28일
나. 원전명 : 『栗谷先生全書』
(「東湖問答」,「時務七條策」,「易數策」,「誠策」,「天道策」)
다. 강독자 : 李慶漢 선생
라. 장 소 : 성균관대 제4세미나실

7. 제7차 講解
가. 기 간 : 1997년 3월 6일 ~ 6월 6일
나. 원전명 : 『花潭及門諸賢集』
다. 강독자 : 黃光旭 선생
라. 장 소 : 성균관대 제4세미나실

8. 제8차 講解
가. 기 간 : 1997년 6월 12일 ~ 11월 5일
나. 원전명 : 『醒菴集』(泗上講說)
다. 강독자 : 李相益 선생
라. 장 소 : 성균관대 제4세미나실

9. 제9차 講解
가. 기 간 : 1997년 11월 12일 ~98년 2월 11일
나. 원전명 : 『兩賢傳心錄』
다. 강독자 : 金文俊 선생
라. 장 소 : 성균관대 제1세미나실

10. 제10차 講解
가. 기 간 : 1998년 2월 18일 ~ 7월 10일
나. 원전명 : 『靜菴先生文集』
다. 강독자 : 李相星 선생
라. 장 소 : 성균관대 제1세미나실

11. 제11차 講解
가. 기 간 : 1998년 7월 24일 ~ 10월 9일
나. 원전명 : 『圃隱先生集』
다. 강독자 : 鄭聖植 선생
라. 장 소 : 성균관대 제1세미나실

12. 제12차 講解
가. 기 간 : 1998년 10월 16일 ~ 99년 2월 28일
나. 원전명 : 『三峰集』
(「佛氏雜辨」, 「心氣理篇」, 「心問天答」)
다. 강독자 : 鄭聖植 선생
라. 장 소 : 성균관대 제1세미나실

13. 제13차 講解
가. 기 간 : 1999년 3월 4일 ~ 6월 4일
나. 원전명 : 『旅軒先生文集』
다. 강독자 : 李熙平 선생
라. 장 소 : 성균관대 제1세미나실

14. 제14차 講解
가. 기 간 : 1999년 6월 11일 ~ 2000. 3. 24
나. 원전명 : 『類經』 및 『東醫寶鑑』
다. 강독자 : 成昊俊 선생
라. 장 소 : 성균관대 제1세미나실

15. 제15차 講解
가. 기간 : 2000년 4월 7일 ~ 2000년 10월 13일
나. 원전 : 『鹿門集』(「鹿門雜識」, 一原分殊圖」외)
다. 강독 : 洪正根 선생
라. 장소 : 성균관대 제1세미나실

16. 제16차 講解
가. 기간 : 2001년 3월 16일 ~2001 5월 18일
나. 원전 : 󰡔醇言󰡕
다. 강독 : 李慶漢 선생
라. 장소 : 성균관대학교 세미나실(31509A실)

17. 제17차 講解
가. 기간 : 2001년 5월 25일 ~2001. 10. 26
나. 원전 : 󰡔修心訣󰡕, 󰡔眞心直說󰡕
다. 강독 : 李鍾尙 선생
라. 장소 : 성균관대학교 세미나실(31509A실)

18. 제 18차 講解
가. 기간 : 2001년 11월 2일 ~ 2002. 5.3
나. 원전 : 󰡔傳習錄󰡕, 󰡔霞谷全集󰡕
다. 강독 : 林洪兌 선생
라. 강독장소 : 성균관대학교 세미나실(31509A)

19. 제 19차 講解
가. 기간 : 2002. 5. 31~ 2002. 8. 5
나. 원전 : 韓國古代思想 관련원전
다. 강독 : 黃光旭 선생
라. 장소 : 성균관대학교 세미나실(31509A)

20. 제 20차 講解
가. 기간 : 2002. 9. 27~ 2003. 4. 25
나. 원전 : 一叟先生集
다. 강독 : 李善慶 선생
라. 장소 : 성균관대학교 세미나실(31509A)

21. 제 21차 講解
가. 기간 : 2003. 9. 19~ 2003.12. 12
나. 원전 : 華西先生文集
다. 강독 : 姜弼善 선생
라. 장소 : 성균관대학교 세미나실(31509A)

Ⅴ. 학술답사
1. 제1차 학술답사
가. 일시 : 1998년 5월 17일 09:30 ~16:30
나. 답사지 : 1)深谷書院 및 靜庵先生 墓所
2)圃隱先生 墓所
다. 발표 : 「정암 조광조의 생애와 사상」
발표 : 이상성(성대강사)
라. 참석인원 : 22명

2. 제2차 학술답사
가. 일시 : 1999년 5월 30일 08 : 30 ~ 19 : 00
나. 답사지 : 1)英陵(경기도 여주군 소재)
2)神勒寺(경기도 여주군 소재)
3)木芽佛敎博物館(경기도 여주군 소재)
다. 참석인원 : 20명

3. 제3차 학술답사
가. 일시 : 2001년 4월 29일 09:00 – 17:00
나. 답사지 : 1)자운서원(경기도 파주시 율곡면 율곡리)
2)화석정( 〃 )
다. 발표 : 율곡의 생애와 사상(이경한 선생)
라. 참석인원 : 14명

4. 제4차 학술답사
가. 일시 : 2002년 5월 12일(日) 오전 9시~오후 6시
나. 답사지 및 행사
1) 화서 이항로 생가 및 蘆山祠(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노문리)
2) 벽계구곡
3) 탁본 : 霽月臺
다. 발표 : 「華西 李恒老의 生涯와 思想」
– 발표자 : 姜弼善 선생(成大講師)
라. 참석인원 : 15명

Ⅵ. 기타 사업
1. 英語論語 講讀
가. 기 간 : 1995년 3월 ~ 1995년 8월
나. 강독자 : 이 보영 선생님
다. 장 소 : 잠실 한신 오피스텔1320호

2. 硏究委員들의 韓國哲學 關聯 著作物 刊行
가. 이상익, 최영성 위원 :『은봉야사별록(隱峰野史別錄)』(安邦俊 著)국역, 아세아문화사, 1996
나. 이상익 위원 :『서구의 충격과 근대한국사상』출간, 한울아카데미, 1997
『畿湖 性理學 硏究』, 한울아카데미, 1998
『四七新編』, 도서출판 다운샘, 1999
󰡔儒家社會哲學 硏究󰡕, 심산, 2001
다. 최영성 위원 : 『註解 四山碑銘』(개정본), 아세아문화사, 1998
󰡔韓國儒學思想史󰡕(전5권), 아세아문화사, 1997.
󰡔崔致遠全集󰡕, 아세아문화사, 1999
라. 최중석 위원 : 『譯註 自省錄』, 國學資料院, 1998
『譯註 困知記 , ″ , ″
『譯註 心經附註』, ″ , ″
마. 임선영,정성식,황광욱 위원 :『한국철학화두로 읽는다』,동녘, 1999
바. 이형성 위원 : 역주 󰡔범주로 보는 주자학󰡕, 예문서원, 1997
편역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유학사󰡕, 예문서원, 2001

Ⅶ. 기타 소식
1. 杏邨 李東俊 선생님 1998년 제16회《洌巖學術賞》 受賞
1) 수상 일시 : 1998년 12월 12일(토) 14:00
2) 수상 저서 : 󰡔유교의 인도주의와 한국사상󰡕
3) 수상 장소 : 대우재단빌딩 3층 대강당
4) 주관 단체 : 洌巖先生紀念事業會
2. 杏邨 李東俊 선생님 2001년 《栗谷學術賞》 受賞
1) 수상 일시 : 2001년 11월 12일(토) 14:00
2) 수상 장소 : 강릉 오죽헌
3) 주관 단체 : 栗谷先生紀念事業會

한국철학연구소 정관
1995년 2월 8일 제정
2002년 5월 17일 개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 본 연구소는 한국철학을 탐구하고 교육하며 국내외적으로 이해를 심화시킴으로써 고금과 동서를 잇고 새로운 문화의 장을 여는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명칭) : 본 연구소는 한국철학연구소라 칭한다.
제3조(위치) : 본 연구소의 사무소는 서울특별시에 둔다.

제2장 사업

제4조(사업) : 본 연구소는 제1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을 행한다.
1) 한국철학 및 관련분야에 대한 학술연찬
2) 한국철학관련 출판물의 간행
3) 학술문화강좌 및 기타 본 연구소의 목적에 부합되는 사업

제3장 기구

제5조(기구) : 본 연구소는 제4조의 사업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구를 둔다.
1) 이사회 : 본 연구소의 주요사항을 의결한다.
2) 운영위원회 : 본 위원회는 기획․총무부, 연구․교육부, 편집․출판부,
국제․섭외부, 재정․사업부를 둔다.
3) 학술위원회 : 본 위원회는 철학․종교분과, 역사․사회분과, 문학․문화
분과, 미학․예술분과를 둔다.

제4장 회원의 구성

제6조(구성원) : 본 연구소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1) 소장 : 1명
2) 이사 : 7-9명
3) 감사 : 2명
4) 고문 및 자문위원: 약간명
5) 학술위원 : 상임위원 1명 및 분과별 책임위원 약간명
6) 운영위원 : 총간사 및 부별간사 약간명
7) 연구원 : 회원 중 경력과 자격을 기준으로 특별연구원(대학 전임교원), 책임연구원(박사학위소지자), 선임연구원(대학원 재학생 및 수료자), 일반연구원(대학졸업자)을 둔다.
8) 일반회원 : 본 연구소의 임원 및 연구원의 직책을 갖지 않은 회원

제7조(회원의 자격) : 본 연구소의 설치목적에 찬동하는 사람으로서 운영위원회 의결을 거쳐 그 자격을 인정한다.
제8조(회원의 의무) : 회원은 본 연구소에서 정하는 회비를 납부하고 제반 활동에 참여한다.

제5장 임원의 선임

제9조(임원의 구성) : 본 연구소의 임원은 소장, 이사, 감사, 고문, 자문위원, 운영위원, 학술위원으로 구성된다.
제10조(임원의 선임) : 본 연구소 임원의 다음과 같이 선임한다.
1) 이사는 이사회에서 선출된 인사로 구성한다.
2) 소장은 이사회에서 선출한다.
3) 감사는 이사회에서 선출한다.
4) 고문과 자문위원은 이사회의 의견을 수렴하여 소장이 위촉한다.
5) 운영위원 및 학술위원은 소장이 임명한다.
제11조(임원의 임기) : 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고 연임할 수 있다.

제6장 운영 및 재정

제12조(운영) : 본 연구소의 소장은 필요에 따라 이사회, 운영위원회 및 학술위원회를 소집 하며 제반 사업을 관장하다.
제13조(재정) : 본 연구소의 재정은 출연금, 찬조금, 기타 수익금 및 회비로 충당한다

제7장 정관 개정

제14조(정관의 개정) : 본 연구소 정관의 개정은 이사회에서 의결한다.

부칙
제1조 : 본 정관은 이사회에서 확정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제2조 : 본 정관에 규정되지 않은 사항은 통상적 절차에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