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철학연구소 개요
설립 목적
한국철학의 탐구와 교육, 국내외적 이해 심화, 동서고금의 사유 연결을 통한 인류문화 기여
주요 사업
- 한국철학 연구 및 학술 연찬
- 강연·출판 활동
- 관련 학술문화강좌 운영
- 기타 목적에 부합하는 사업
조직 구조
운영위원회
- • 기획·총무
- • 연구·교육
- • 편집·출판
- • 국제·섭외
- • 재정·사업
학술위원회
- • 철학·종교
- • 역사·사회
- • 문학·문화
- • 미학·예술
📝 학술 발표회 상세 (1995년~2009년)
제1회 학술발표회 (1995년 12월 28일)
장소: 잠실 한신오피스텔 1320호
- • 莊子의 天樂論 - 韓明熙 (국립국악원 원장)
- • 道學派의 經世論 - 李相益 (성균관대 강사)
제2회 학술발표회 (1996년 11월 8일)
장소: 잠실 한신오피스텔 1320호
- • 「高麗水月觀音圖」와 '아그랍음' - 金敬子 (한양대 교수)
- • 安邦俊의 義理思想과 『隱峰野史別錄』의 의의 - 崔英成 (성균관대 강사)
제3회 학술발표회 (1997년 12월 26일)
장소: 잠실 한신오피스텔 1320호
- • 「韓國 易學思想의 特性에 관한 考察」 - 崔英辰 (성균관대 교수)
- • 「退溪哲學과 爲己之學」 - 崔重錫 (성균관대 강사)
제4회 학술발표회 (1998년 7월 18일)
장소: 잠실 한신오피스텔 1320호
- • 「한 哲學徒의 助言」 - 金奎榮 (학술원 회원)
- • 「靜庵 趙光祖 道學思想의 學問的 基盤과 特性」 - 李相星 (성균관대 강사)
제5회 학술발표회 (1998년 12월 19일)
장소: 잠실 한신오피스텔 1320호
- • 「圃隱 鄭夢周 先生의 詩와 哲學」 - 鄭聖植 (성균관대 강사)
- • 「易學思想의 生態學的 理解」 - 郭信煥 (숭실대 교수)
주요 학술발표회 특징
- • 한국철학의 근원적 탐구를 위한 체계적인 연구활동
- • 성균관대학교와 잠실 지역을 중심으로 한 정기적인 학술교류
- • 전통철학과 현대철학의 조화로운 연구
- • 국내외 저명한 학자들의 참여로 학술적 깊이 확보
📚 학술문화강좌 요약 (2002~2009년)
개요
총 50회 이상 개최, 공통 주제: "나의 중심개념"
강연자: 주요 철학자, 학자, 예술인 등
전통 주제
- • 유학 이해법, 민족 정체성
- • 시간, 풍류도, 키에르케고어
- • 선비사상, 한국 도자기
- • 조선 회화, 생철학
- • 광개토대왕비 고찰
현대 이슈
- • 과학적 세계관 변화
- • 정신건강, 문화다양성
- • 하이데거 존재론
- • 특별기념 학술발표회
- • 이정호 선생 추모 등
🎯 활동의 핵심적 의미
한국 고유 철학의 학문적 정립과 현대적 조명
전통 철학의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현대 사회에 의미 있는 철학적 통찰을 제공합니다.
국내외 학자와의 지속적 교류
세계 철학계와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한국철학의 세계화에 기여합니다.
다양한 분야와의 철학적 융합 시도
문학, 예술, 정치, 종교, 의학 등 다양한 분야와의 철학적 융합을 통해 새로운 철학적 패러다임을 모색합니다.
연구 목표
- 한국 전통철학의 체계적 연구 및 현대적 해석
-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의 비교 연구 및 대화
- 철학적 사고를 통한 현대 사회 문제 해결 방안 모색
- 철학 교육 및 대중화를 통한 인문학적 소양 증진
- 국제 철학계와의 학술 교류 및 협력
주요 연구 분야
한국 전통철학
유교, 불교, 도교 등 한국 전통철학의 원리와 현대적 의미를 탐구합니다.
동양철학 비교연구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양철학의 비교 연구를 통해 각 철학의 특성을 밝힙니다.
현대철학 연구
현대 철학의 주요 사조와 동양철학의 대화를 통해 새로운 철학적 패러다임을 모색합니다.
실용철학
철학적 사고를 현실 문제 해결에 적용하여 실용적인 철학을 연구합니다.
연구 활동
01
학술대회 개최
정기 학술대회와 국제 학술대회를 통해 철학적 토론과 교류를 활성화합니다.
02
교양강좌 운영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철학 교양강좌를 통해 철학의 대중화에 기여합니다.
03
강연회 개최
저명한 철학자들을 초청하여 다양한 철학적 관점을 소개하고 토론합니다.
04
연구 프로젝트
한국 전통철학과 현대철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합니다.
주요 연구 성과
학술지 발간
연 4회 '한국철학연구' 학술지를 발간하여 연구 성과를 공유합니다.
단행본 출판
한국 전통철학과 현대철학에 관한 다양한 단행본을 출판합니다.
국제 학술대회
연 2회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세계 철학계와의 교류를 활성화합니다.
국제 교류
한국철학연구소는 국내외 철학 연구기관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한국철학의 세계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국제철학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Philosophical Societies) 회원기관
- 아시아철학회(Asian Philosophical Association) 정회원
- 중국 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와의 학술교류
- 일본 동양철학회와의 정기 학술대회
- 미국 철학회(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와의 연구협력
- 유럽 철학연구소들과의 학술교류
교육 프로그램
일반인 교양강좌
철학에 관심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교양강좌를 정기적으로 운영합니다.
청년 연구자 포럼
청년 철학 연구자들을 위한 연구 포럼을 개최하여 새로운 연구 방향을 모색합니다.
"한국철학연구소는 한국 전통철학의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현대 사회에 의미 있는 철학적 통찰을 제공하고,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의 대화를 통해 새로운 철학적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출판물 및 연구 성과
주요 출판물
- • 『은봉야사별록(隱峰野史別錄)』(안방준 著) 국역 - 이상익, 최영성 위원
- • 『서구의 충격과 근대한국사상』 - 이상익 위원
- • 『註解 四山碑銘』(개정본) - 최영성 위원
- • 『한국철학화두로 읽는다』 - 임선영, 정성식, 황광욱 위원
- • 『범주로 보는 주자학』 역주 - 이형성 위원
- •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유학사』 편역 - 이형성 위원
학술지 발간
정기적으로 한국철학 관련 학술지를 발간하여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학술계와의 교류를 활성화합니다.
🏆 수상 및 주요 소식
杏邨 李東俊 선생님 수상
1998년 제16회《洌巖學術賞》 수상
수상 저서: 『유교의 인도주의와 한국사상』
수상 장소: 대우재단빌딩 3층 대강당
2001년 《栗谷學術賞》 수상
수상 장소: 강릉 오죽헌
주관 단체: 栗谷先生紀念事業會
📋 정관 요약
정관 개요
1995년 2월 8일 제정, 2002년 5월 17일 개정
제1장 총칙
- • 제1조: 목적 - 한국철학 탐구 및 교육
- • 제2조: 명칭 - 한국철학연구소
- • 제3조: 위치 - 서울특별시
제2장 사업
- • 학술연찬 개최
- • 출판물 간행
- • 학술문화강좌 운영
임원 구성 및 선임
- • 소장: 이사회에서 선출
- • 이사: 7-9명, 이사회에서 선출
- • 감사: 2명, 이사회에서 선출
- • 고문 및 자문위원: 소장이 위촉
- • 운영위원 및 학술위원: 소장이 임명
- • 임원 임기: 3년 (연임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