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상과 문화 교양강좌】
학술단체 한국사상연구원(원장: 이동준 성균관대 명예교수)에서는 한국사상 이해의 대중적 확산을 위해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을 마련하였습니다. 유익한 주제와 정상급 강사진으로 알차게 내용을 구성했습니다.
한국사상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문화적 요소와 결부하여 강좌를 구성하였사오니, 한여름 밤의 무더위를 한국사상연구원의 교양강좌와 함께 식혀보시면 어떨까요?
여러 선생님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한국사상연구원 학술위원회 올림
▣ 일시: 7월 13일 ~ 8월 24일 (총 7회), 매주 목요일 저녁 7:00~9:00
▣ 장소: 온라인 ZOOM
https://us02web.zoom.us/j/89825006065?pwd=OE91SjAyaW41dUtqbE1icGE3UGRidz09
회의 ID: 898 2500 6065 암호: 880538
▣ 수강료: 없음
회차
|
날짜
|
주제
|
강의자
|
1 |
7.13 |
조선의 도학과 문묘 그리고 향교 및 서원 | 김문준 교수 (건양대) |
2 |
7.20
|
최치원 <난랑비서>의 사상적 의미와 역사적 고증 | 최영성 교수 (한국전통문화대) |
3 |
7.27
|
고려말 목은 이색과 한국사상 |
최영성 교수 |
4 |
8.03
|
퇴계와 율곡의 만남과 사상 |
곽신환 교수 |
5 |
8.10
|
강화도의 문화유적과 강화학파 |
김윤경 교수 |
6 |
8.17
|
추사 김정희의 예술관 |
유영모 교수 |
7 |
8.24
|
훈민정음의 철학사상과 인간학 | 이선경 교수 (조선대) |
※ 한국사상연구원 이메일 ikt2022@ikt.or.kr 또는 ikt2022@daum.net 으로 수강 의사를 밝혀주시면 매 강의 일주일 전에 강의자료를 이메일로 보내드립니다. ※ 문의: 총무이사 이선경 010-2761-4947 학술이사 강보승 010-5437-4310 ※ 후원계좌: 국민은행 231401-04-317181 이선경(한국사상연구원) 자유의사에 따른 후원 가능
한 국 사 상 연 구 원
~~~~ ~~~~ ~~~~ ~~~~ ~~~~ ~~~~ ~~~~ ~~~~ ~~~~ ~~~~ ~~~~ ~~~~ ~~~~ ~~~~ ~~~~ ~~~~ ~~~~ ~~~~
/ 강 / 사 / 진 // 소 / 개 /
최영성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무형유산학과 교수. 고운 최치원 사상 연구의 독보적 전문가이며, 『한국유학통사』전3권, 『교주(校註) 서산비명(四山碑銘)』, 『사상으로 읽는 전통문화』 등 수많은 논저가 있다.
김문준 건양대학교 휴머니티칼리지 인문융합학부 교수. 『한국 서원의 전통가치와 현대적 계승 』, 『점필재 김종직의 도학 다시보기』 등 많은 논저가 있다.
곽신환 숭실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1583년의 율곡 이이』, 『우암 송시열』, 『조선유학과 소강절 철학』, 『주역의 이해 : 주역의 자연관과 인간관』 등 수많은 논저가 있다.
김윤경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학술연구교수. 하곡 정제두 등 한국양명학 방면 전문가이다. 『청소년을 위한 한국철학사』, 「하곡학파의 「原論」에 나타난 역사인식과 사회비판론」 등 많은 논저가 있다.
유영모 한국사상연구원 상임연구원. 유가미학(儒家美學) 전문가이다. 「유가미학에 있어서 미적 판단과 도덕적 판단의 상관성」, 「『예기』·「악기」에 나타난 和의 미학 사상」등 다수의 연구가 있다.
이선경 조선대 철학과 초빙객원교수. 한국주역학회 회장. 『주역과 한국문화』, 「주역의 죽음관」, 「태극기의 원리와 역의 철학정신-K철학을 전망하며」 등 많은 논저가 있다.
~~~~ ~~~~ ~~~~ ~~~~ ~~~~ ~~~~ ~~~~ ~~~~ ~~~~ ~~~~ ~~~~ ~~~~ ~~~~ ~~~~ ~~~~ ~~~~ ~~~~ ~~~~
댓글을 남겨주세요